본문 바로가기
쓸모 있는 이야기

여름방학 베트남 여행 가기 전, 반드시 알아야 할 뎅기열 증상 및 예방법

by infobox0400 2025. 7. 3.

여름방학 베트남 여행을 계획 중이라면, 뎅기열 증상과 감염 경로, 예방접종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 모기 한 마리로도 감염되는 뎅기열은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. 특히 초등학생 자녀와 함께 여행을 간다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. 아래 뎅기


🧭 목차

 

  • 여름방학 베트남 여행 전 체크리스트
  • 뎅기열이란?
  • 증상과 구별법
  • 유행 지역과 발생 시기
  • 전염 경로와 예방접종 정보
  • 진단과 검사 방법
  • 치료와 합병증

여름방학 베트남 뎅기열 주의보

 

1.여름방학 베트남 여행 전 체크리스트

 

 

체크 항목  체크
여행 전 2주 간 건강관리      ☑️
여행지 기후 및 베트남 뎅기열 유행 현황 확인  ☑️
모기퇴치제·모기장 등 준비  ☑️
증상 발생 시 빠른 귀국 고려   ☑️
귀국 후 증상 지속 시 병원 방문 ☑️



 2.뎅기열이란?   

 

 

 플라비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, 숲모기 또는 흰줄숲모기가 사람을 물며 전염됩니다.  
사람 간 직접 전염은 되지 않으며, 감염된 모기에 물리는 것이 유일한 감염 경로입니다.

- 바이러스 종류: 1형~4형 (총 4가지 유형)
- 주 감염 지역: 동남아, 남미, 아프리카 일부 국가
- 특징* 동일 유형 재감염은 안되지만, 다른 유형엔 재감염 가능



3. 뎅기열 증상과 구별법

 

 

증상 구분 주요 내용  
고열 3~5일 지속, 39도 이상
 두통 이마 중심의 강한 통증  
 관절·근육통 움직이기 어려울 정도의 전신 통증     
피부 발진  좁쌀 모양의 붉은 반점, 얼굴 → 가슴 → 사지 확산       
경미한 출혈 코피, 잇몸 출혈, 림프절 종대 등     



초등학생 자녀가 갑자기 열이 나고 발진이 보인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세요.

 ✅ 뎅기열 증상은 감기나 독감과 유사하지만 **피부 발진과 출혈 징후**가 동반될 수 있어 구별이 필요합니다.



4.뎅기열 유행 지역과 발생 시기

 

📍 2025년 기준 뎅기열 유행 지역:

- 베트남: 하노이, 호치민, 다낭 등 전 지역
- 태국, 필리핀,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전체
- 우기철(6월~10월) 에 집중 발생

 🧭 특히, 베트남은 다음 지역에서 감염사례 다수 보고됨:

도시 최근 감염 보고 건수 위험도 등급
하노이 ★★★★☆   높음
호치민 ★★★★★  매우 높음 
다낭  ★★★☆☆  보통 

 


**여름방학 여행 시기와 겹치므로, 반드시 모기 예방 준비가 필요합니다.**

 



4. 뎅기열 전염 경로와 예방접종 정보

 

🦟 뎅기열 전염은 이렇게 됩니다:

 

- 감염된 모기에 물리는 즉시 감염
사람끼리 직접 전염되지 않음
잠복기: 4~7일

 

 

 


💉 뎅기열 예방접종은?

구분  내용
국내 접종 가능 여부  ❌ 없음 (2025년 기준)    
해외 일부 국가 9세 이상 일부 고위험군 대상 접종 진행 중
가장 효과적인 예방법 모기에 물리지 않는 것!



 예방접종은 국내 미도입 상태입니다. 따라서 모기 기피 대책이 유일한 방법입니다.

 

5.효과적인 예방법 3가지

 

 


1. 긴 옷 착용 (팔·다리 노출 최소화)
2. DEET 성분 모기퇴치제 사용
3. 숙소에 모기장·전기 모기 퇴치기설치

 

 

 6.뎅기열 진단과 검사 방법

 

여행 중 증상이 나타났다면?

- 현지 병원보다는 귀국 후 국내 의료기관 진료 추천
- 여행지에서 의심되면 바로 귀국 고려

검사 종류 내용
 혈청 검사 항체 형성 여부 확인 (발병 6일 후부터)
유전자 검사 RT-PCR 방식으로 바이러스 RNA 확인 (5일 이내)


**질병관리청에서는 해외 여행 후 의심 환자에 대해 검사를 지원하고 있습니다.**



7. 뎅기열 치료와 합병증

 

 


 현재까지 **특별한 치료제는 없습니다. 대증요법 위주로 치료를 사용됩니다:

- 해열제(아세트아미노펜): 고열 조절
- 충분한 수분 섭취**
- **심한 경우 수혈 또는 혈소판 관리 필요**

아스피린이나 이부프로펜은 출혈 위험을 높여 금지됩니다.

 


 합병증 주의

 

뎅기 출혈열(DHF): 혈소판 감소, 심한 출혈
뎅기 쇼크 증후군(DSS): 순환기 쇼크, 사망률 40% 이상



여름방학은 가족과의 소중한 추억을 쌓는 시간이지만, 베트남 뎅기열은 방심할 수 없는 감염병입니다.  
뎅기열 전염을 막기 위해선 무엇보다 모기 회피가 가장 중요하며,  뎅기열 증상을 알고 대비하는 것이 건강한 여행의 시작입니다.